Sustainability Products
환경공헌 제품
환경부하의 저감과 자원절약・
에너지절약에 공헌하는
기능성 화학품을
폭넓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세키스이 화학의 기후변동 대책과
새로운 GHG배출량 삭감 목표
세키스이 화학은, 기후변동이 중대한 사회 과제임과 동시에 당사 그룹에 있어서도 중요한 사안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에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습니다. 2018년 화학업계 최초로 SBT인증을 취득한 후, 2022년 10월 기후변동대책이 중요한 사회과제로 부각되는 상황에서 새로운 GHG배출량 삭감 목표를 제정 하였습니다.

기존목표 | 갱신목표 | 갱신목표 달성의 수단 | |
---|---|---|---|
Scope 1+2 | 기준년: 2013년 목표년: 2030년 삭감률: 26%(2℃ 목표) |
기준년: 2019년 목표년: 2030년(변경없음) 삭감률: 50% (1.5℃ 목표 상당) |
기존 구매 전력의 재생에너지화와 함께, 저탄소 연료로의 전환, 전기화, 생산혁신에 의한 연료 유래 GHG삭감 대응의 조기 추진 |
Scope 3 | 기준년: 2016년 목표년: 2030년 삭감률: 27%( 2℃ 목표) |
기준년: 2019년 목표년: 2030년 (변경없음) 삭감률: 30% (WB2℃ 목표 상당) |
자원 순환 대응(비화석 원료로의 전환, 재생 재료의 사용 확대, 폐기물의 재자원화)과 함께, 원재료, 사업으로 발생하는 폐기물과 판매한 제품의 폐기 삭감을 촉진 |
GHG배출 삭감 목표

Scope 1+2
저탄소 연료로의 전환
Scope1+2의 목표 달성을 위해 구입 전력의 재생에너지화를 계속해서 추진하고 있으며, 2030년에는 100%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023년부터는 연료 사용 설비의 전기화 및 저탄소 연료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기술적 난이도가 높은 증기 발생원의 연료 전환과 「생산 프로세스의 혁신」에 의한 사용 에너지의 삭감도 앞당겨 시행하고 있습니다. Scope1+2에 있어서 GHG배출량 삭감에 기여하는 설비투자나 재생에너지의 조달에 2030년까지 총액400억엔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Scope 3
자원 순환에 대한 노력
자원 순환에 대한 노력을 통해 Scope3의 삭감을 추진합니다. 구체적으로는 구매한 제품 서비스의 50%를 차지하는 수지 원료를 비화석 유래로 전환하여 재생 재료의 사용을 확대합니다. 이를 통해, 판매한 제품의 폐기시에 발생하는 GHG배출량 삭감에도 공헌하고 있으며, 폐기된 플라스틱의 재자원화를 추진하여 사업으로부터 발생한 폐기물의 삭감에도 노력하고 있습니다.
※세키스이 화학공업 주식회사『 온실효과 가스 삭감의「1.5℃목표」로 SBT인증을 새롭게 취득 』으로부터 인용
지속가능발전 달성을 위한 이념
GHG배출 삭감을 위한
세키스이 화학 일렉트로닉스의 시책
세키스이 화학은 환경공헌의 부담 저감에 있어서 2050년을 목표로 화학 회사로써는 난이도가 높은 GHG배출 제로에 대한 도전과 소비하는 화석자원을 최소화하는 순환형 경제 서큘러 에코노미의 실현을 선언하고 있습니다.
GHG배출 삭감 제품의 개발을 위한
개발자의 이념
GHG배출 삭감을 위한, 제품의 개발기획 단계부터 출시까지의 개발자의 이념을 확인해 주세요.
고객에 제공하는
일렉트로닉스 분야의 친환경 제품
환경 공헌 제품명 | 제품 설명 및 환경 공헌 포인트 | |
---|---|---|
바이오 베이스 테이프 | 삼림 파괴, 식량 경쟁, 불법 노동에 저촉하지 않는 식물 원료를 사용하여 바이오 유래 함유율 73%를 실현한 테이프로 기존의 석유 유래품에 대해 동등이상의 성능을 발휘합니다. 석유 사용량 삭감, CO₂배출량 삭감, 제품의 재생재료 비율 향상, SDGs 등의 서스테이너블한 사회 실현에 공헌할 수 있으며, 기재의 종류와 제품 구성에 따라 다양한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PET테이프는 각종 전자제품의 부품 고정과 디스플레이의 차광 용도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기재와 이형지에는 리사이클PET를 사용하여 보다 많은 CO₂배출량 삭감을 실현 합니다. 폼 테이프는 각종 전자제품의 방수 방진성, 충격완화성, 쿠션성을 부여하는 고정 재료로써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잉크젯 | 잉크젯 재료의 광반응성/점도를 극한까지 조정하여, 기판상에서 도포하기 어려운 고해상도 패턴의 도포를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기판 전면에 도포한 포토 레지스트를 포토 마스크로 현상/패턴 성형하는 포토 리소그래피 프로세스와 비교한다면, 예를 들어 폭100μm의 격자 형상(10㎜ 사이즈)의 도포에서 약95%의 재료 삭감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
|
포토렉 시리즈 | 포토렉 시리즈는, 주로 에너지 절약형 표시 장치(LCD, OLED)에 사용하는 특수 접착제 입니다. 전 제품 VOC 프리 대응이며, 자외선 에너지+저온 경화(또는 상온 경화)가 가능하므로 제조 프로세스의 에너지 소비를 억제하여 환경 부담 저감에 공헌합니다. | |
마이크로 펄 AU | Micropearl™ AU는 플라스틱 입자의 표면에 금속을 피복한 도전 재료로써, 전극에 접촉하는 것으로도통이 가능합니다. 사용한 금속량을 순금속 분말보다도 50%이상 줄이는 것이 가능합니다. 또한,금은 전세계적으로 고갈의 우려가 있으므로 금속량의 저감은 금속 자원의 보존에 공헌합니다. |
외부평가

「2023 Global 100 Most Sustainable Corporations in the World index」
세계에서 가장 지속성이 높은 기업 100개사 중 84위 선출

DJSI (Dow Jones Sustainability Indices)
「World Index」 선출

GHG삭감의 「1.5℃목표」로
「SBT(Science Based Targets)이니셔티브」의 인증을 재취득 (2023年3月)

제3회
「ESG파이낸스・어워드・재팬」 환경 서스티너블 회사 부분 은상 수상
지구와 사회에 대한 무궁무진한 공헌을 위해,
세키스이 화학은 자사, 서플라이체인, 고객
모두에 대한 지속 가능성을 추구하고 있습니다.